CONTENTS
- 1. 교통사고검찰송치 | 사고 내용
- - 사고 발생하게 된 경위
- - 의뢰인의 억울함
- - 상담전문변호사의 사건 확인
- 2. 교통사고검찰송치 | 사고 분석
- - 쟁점사항
- 3. 교통사고검찰송치 | 조력 내용
- 4. 교통사고검찰송치 | 벌금형 처분 공소기각 결정되 처벌 방어
1. 교통사고검찰송치 | 사고 내용

교통사고검찰송치를 한 경찰은 의뢰인이 백색 실선 구간에서 차로를 변경하며 사고를 유발한 것을 ‘끼어들기 금지 위반’이라 보아 🔗12대중과실교통사고라고 판단했는데요.
이에 따라 검찰에 넘겨진 의뢰인은 약식기소로 인해 벌금형 처분을 받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상담전문변호사가 사건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해당 사고가 12대 중과실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펼칠 수 있었으며 결국 공소기각으로 사건은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사고 발생하게 된 경위
의뢰인은 출근길 도로에서 주행 중, 차로를 변경하던 도중 우측에서 직진 중이던 차량과 접촉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사고가 일어난 지점은 백색실선 구간이었으며 피해 차량 운전자는 상해를 입어 병원에 이송 되었습니다.
🔗경찰조사 결과, 의뢰인의 무리한 끼어들기는 교통법규 위반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사건을 검찰에 송치하였습니다.
의뢰인의 억울함
의뢰인은 차로를 변경할 당시 방향지시등을 충분히 오래 켜두었고 시속 15km 내외의 저속으로 천천히 진입하였다고 주장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선 구간이 아닌 백색 실선 구간에서 차로를 변경했다는 이유로 12대 중과실 가운데 ‘끼어들기 금지 위반’에 해당한다고 판단되어 피해자와의 합의 여부와 상관없이 형사처벌이 가능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의뢰인은 결국 검찰의 약식기소로 인해 벌금형 처분을 받게 되었습니다.
상담전문변호사의 사건 확인
상담전문변호사가 해당 사건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이를 ‘12대 중과실에 해당하는 끼어들기 금지 위반’으로 단정 짓기는 어렵다는 판단에 이르렀습니다.
특히 사건 진행 중 새롭게 선고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2022도12175)을 근거로, 의뢰인의 행위가 단순한 진로변경에 해당하며 형사처벌 특례가 적용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고 보았는데요.
이에 따라 정식재판 청구를 통해 적극적으로 다툴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의뢰인에게 필요한 대응 방향을 구체적으로 안내하였습니다.
2. 교통사고검찰송치 | 사고 분석
교통사고검찰송치로 인해 교통사고처리특례법 관련 법리를 살펴보고 의뢰인의 처벌을 방어하고자 했습니다.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4조 | 12대 중과실 여부 |
교통사고를 일으킨 자가 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된 경우, 피해자와의 합의에도 불구하고 12대 중과실 사고라면 형사처벌을 피할 수 없음 | 12대 중과실 교통사고는 피해자와 합의가 되어도 형사처벌이 가능 |
반의사불벌죄 O | 반의사불벌죄 X |
업무상과실치상, 중과실치상 등 | 끼어들기 금지, 보도 침범, 중앙선 침범, 신호위반 등 |
쟁점사항
의뢰인의 사고는 ‘차로 변경’ 중 발생했으며 검찰은 이를 12대 중과실 중 ‘끼어들기 금지 위반’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는데요.
이 판단이 유지될 경우, 의뢰인이 보험에 가입되어 있고 피해자와의 합의 했더라도 공소 제기가 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2022도12175)은 백색실선 구간에서의 차로 변경은 ‘통행금지’에 해당하지 않으며 ‘끼어들기 금지 위반’으로 단정 지을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해당 판례는 ‘통행금지’ 표지와 단순한 ‘진로변경금지’의 법적 의미를 구분하고 있으며 백색 실선은 통행금지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해석한 것인데요.
이에 따라 백색실선 구간에서의 차로 변경은 12대 중과실로 볼 수 없었으며 보험 가입 및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 공소 제기를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법무법인 대륜의 상담전문변호사는 이와 같은 판례를 근거로 의견서를 작성하여 의뢰인의 행위는 단순 중과실에 해당하므로 공소 제기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강하게 피력하고자 했습니다.
3. 교통사고검찰송치 | 조력 내용

교통사고검찰송치된 의뢰인의 처벌을 방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조력했습니다.
조력 | 내용 |
사건 법리 분석 | ▷ 의뢰인의 차로 변경 당시 서행하며 방향지시등을 켠 점을 강조
▷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례(2022도12175)를 근거로 공소 제기 요건 불충분 주장을 제기 |
정식재판 청구 지원 | ▷ 약식기소 및 벌금형 처분에 대응하기 위해 정식재판 청구 진행
▷ 공소 기각 결정을 목표로 법정 대응 준비 |
증거자료 확보 | ▷ 사고 당시 차량 블랙박스를 확보하여 차로 변경 및 속도, 피해자 차량 움직임 등을 명확히 입증하는 데 활용 |
피해자와의 합의 조율 | ▷ 보험을 통한 치료 및 합의를 진행하여 피해자와 원만한 합의를 도달해 처벌의 실익이 없음을 강조 |
4. 교통사고검찰송치 | 벌금형 처분 공소기각 결정되 처벌 방어

교통사고검찰송치 의뢰인을 조력한 변호사의 주장이 받아들여지면서 법원은 공소기각 결정을 내렸습니다.
공소기각은 공소가 취소되었을 때 내려지는 법원의 결정으로 제1심 판결 선고 전까지 공소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의뢰인은 정식재판을 통해 벌금형 처분을 피하여 형사처벌을 받지 않고 사건을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단순 과실로 인한 사고였음에도 불구하고 억울하게 중과실 판단을 받아 형사처벌 위험에 처했던 의뢰인에게 상담전문변호사의 빠른 대처와 철저한 법리 분석이 큰 도움이 되었는데요.
만약, 🔗상담전문변호사 법률상담예약을 통해 법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싶다면 링크를 클릭해 법률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